전체 글
-
대표 투자항목 40년전 대비 상승 비교재테크 일반 2024. 11. 6. 18:46
서울 집값, S&P 500, 금값 등 대표적인 투자 항목의 40년 전 대비 상승 비율을 비교해 보겠습니다. 아래는 각 항목의 대략적인 상승률을 기준으로 한 예시입니다.1. 서울 아파트 시세1983년: 약 3,000만 원2023년: 약 12억 원상승률: 상승률=(12억−3천만3천만)×100≈400% (40배 상승)\text{상승률} = \left( \frac{12억 - 3천만}{3천만} \right) \times 100 \approx 400\% \text{ (40배 상승)}상승률=(3천만12억−3천만)×100≈400% (40배 상승)2. S&P 5001983년: 약 160포인트2023년: 약 5,808.12포인트상승률: 상승률=(5808.12−160160)×100≈3,530%\text{상승률} = \le..
-
서울 부산 아파트 40년간 시세 비교재테크 일반 2024. 11. 6. 18:43
서울과 부산의 아파트 시세를 1983년부터 현재까지 5년 단위로 살펴보며, 물가 상승이 아파트 가격에 미친 영향을 예시로 설명하겠습니다. 아파트 시세는 평균적인 가격을 기준으로 하며, 실제 지역별, 단지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1. 서울 아파트 시세 (평균 30평 기준)1983년: 약 3,000만 원1988년: 약 6,000만 원1993년: 약 1억 원1998년: 약 1억 5,000만 원2003년: 약 3억 원2008년: 약 5억 원2013년: 약 7억 원2018년: 약 10억 원2023년: 약 12억 원설명: 1983년에 서울의 평균 아파트 가격이 약 3,000만 원이었으나, 2023년 현재는 약 12억 원으로 상승했습니다. 이는 40년 동안 약 40배 증가한 셈이며, 특히 2000년대 이후 급격..
-
40년전 물가 비교재테크 일반 2024. 11. 6. 18:42
1983년부터 2023년까지 대한민국의 소비자물가지수(CPI)는 약 3.6배 상승했습니다. 1983년의 CPI를 100으로 기준할 때, 2023년의 CPI는 약 360에 해당합니다. 따라서, 40년간 물가는 약 260% 상승한 셈입니다. 40년 동안 대한민국의 물가가 약 260% 상승했다는 것은, 1983년에 100원이었던 물건이 2023년에는 약 360원이 되었음을 의미합니다. 이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1983년에 커피 한 잔이 100원이었다면, 2023년에는 같은 커피 한 잔을 360원 정도에 구매해야 한다는 뜻입니다.또는, 1983년에 1,000원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물건이 2023년에는 약 3,600원이 필요하게 된 것입니다.즉, 시간이 지나면서 물가가 상승하..
-
-
-
배당주와 배당성장주 비교 2 (미국)주식/배당주 & 배당성장주 2024. 10. 16. 22:08
지난 10년 동안 배당주와 배당성장주는 투자 수익률뿐만 아니라 변동성에서도 차이를 보였습니다. 아래에서 각각의 수익률, 총 10년 수익률, 그리고 변동성을 비교하여 정리했습니다.1. 배당주 (Dividend Stocks)평균 연간 수익률: 약 9.9%.총 10년 수익률: 약 159%.변동성: 배당주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며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. 보통 15-20% 정도의 변동성을 보여왔습니다. 이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는 대형 우량주들이 주를 이루기 때문입니다.특징: 배당주는 꾸준한 현금 배당을 제공하며,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주식입니다.예시: ExxonMobil, Johnson & Johnson, Procter & Gamble 등은 배당이 안정적으로 지급..
-
배당주와 배당성장주 비교 1 (미국)주식/배당주 & 배당성장주 2024. 10. 16. 18:21
미국 배당주와 배당성장주는 각각 안정적인 배당 수익과 배당금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,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성격이 다릅니다. 아래에서 두 가지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 1. 미국 배당주정의: 배당주(Dividend Stocks)는 일정한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들에 투자하는 주식입니다. 이러한 기업들은 주로 성숙한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, 현금 흐름이 일정하기 때문에 고배당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특징:배당 수익률이 높음.주로 에너지, 유틸리티, 금융 등 안정적인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이 많음.주가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고, 경기 침체기에도 배당금 지급이 유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.대표 배당주:ExxonMobil (XOM): 에너지 업계 대형 주식으로 높은 배당을 제공합니다.AT&T ..
-
배당 ETF와 배당성장 ETF (국내편)주식/배당주 ETF 2024. 10. 16. 08:00
한국의 배당 ETF와 배당성장 ETF를 비교할 때, 두 ETF는 배당을 중심으로 하지만 투자 방식과 목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 각각의 ETF는 투자자가 선호하는 투자 스타일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. 1. 배당 ETF배당 ETF는 현재 배당 수익률이 높은 기업에 투자합니다. 이러한 ETF는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제공하며, 주로 성숙한 대기업이나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기업들에 집중 투자합니다.대표 배당 ETF:TIGER 200 고배당 ETF: KOSPI 200 내에서 배당 수익률이 높은 대형주에 투자합니다.KBSTAR 고배당 ETF: 고배당을 제공하는 우량 대형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꾸준한 배당 수익을 제공합니다.목표: 주로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목표로 하며, 현금 흐름이 필요한 투자자에게 적합합..